카테고리 없음

항해 4주차 WIL

완두노예 2023. 2. 13. 12:44
Restful API?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함.

즉 REST란 

  1.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2.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 PATCH 등)를 통해
  3. 해당 자원(URI)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CRUD Operation이란

 

CRUD는 대부분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인
Create(생성), Read(읽기), Update(갱신), Delete(삭제)를 묶어서 일컫는 말로 
REST에서의 CRUD Operation 동작 예시는 다음과 같다.

Create : 데이터 생성(POST)
Read : 데이터 조회(GET)
Update : 데이터 수정(PUT, PATCH)
Delete : 데이터 삭제(DELETE)

REST의 구성
  1. 자원(Resource) : HTTP URI
  2. 자원에 대한 행위(Verb) : HTTP Method
  3. 자원에 대한 행위의 내용 (Representations) : HTTP Message Pay Load

 

REST의 특징
  1. Server-Client(서버-클라이언트 구조)
  2. Stateless(무상태)
  3. Cacheable(캐시 처리 가능)
  4. Layered System(계층화)
  5. Uniform Interface(인터페이스 일관성)

 

Rest의 장단점

장점

  • HTTP 프로토콜의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REST API 사용을 위한 별도의 인프라를 구출할 필요가 없다.
  • HTTP 프로토콜의 표준을 최대한 활용하여 여러 추가적인 장점을 함께 가져갈 수 있게 해 준다.
  • HTTP 표준 프로토콜에 따르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 Hypermedia API의 기본을 충실히 지키면서 범용성을 보장한다.
  • REST API 메시지가 의도하는 바를 명확하게 나타내므로 의도하는 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여러 가지 서비스 디자인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한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명확하게 분리한다.

 

단점 

  • 표준이 자체가 존재하지 않아 정의가 필요하다.
  • HTTP Method 형태가 제한적이다.
  • 브라우저를 통해 테스트할 일이 많은 서비스라면 쉽게 고칠 수 있는 URL보다 Header 정보의 값을 처리해야 하므로 전문성이 요구된다.
  • 구형 브라우저에서 호환이 되지 않아 지원해주지 못하는 동작이 많다.(익스폴로어)

 

Rest API (Repr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REST API란 REST의 원리를 따르는 API를 의미한다.

Rest API설계 규칙
  • URI는 동사보다는 명사를, 대문자보다는 소문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 마지막에 슬래시 (/)를 포함하지 않는다.
  • 언더바 대신 하이폰을 사용한다.
  • 파일확장자는 URI에 포함하지 않는다.
  • 행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NPM이란?

npm(Node Package Manager)은 node.js를 위한 패키지 매니저이자, node.js를 위한 오픈소스 생태계이다.

npm은 node.js에서 사용하는 모듈들을 패키지로 만들어 관리하고 배포하고 있다.

 

Package.json

먼저 npm Docs에서는 package.json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You can add a package.json file to your package to make it easy for others to manage and install. Packages published to the registry must contain a package.json file.

  • lists the packages your project depends on
  • specifies versions of a package that your project can use using semantic versioning rules
  • makes your build reproducible, and therefore easier to share with other developers

기본적으로는 package.json은 문서다.

개발자가 배포한 패키지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관리하고 설치하기 쉽게 하기 위한 문서.

npm에 패키지를 배포하고 npm registry에 올리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문서파일이다.

  • 자신의 프로젝트가 의존하는 패키지의 리스트
  • 자신의 프로젝트의 버전을 명시
  • 다른 환경에서도 빌드를 재생 가능하게 만들어, 다른 개발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npm이라는 오픈소스 패키지 생태계를 사용하기 위한 명세이자, 프로젝트의 의존성 관리를 위한 명세, 또 이 생태계로의 배포를 위한 명세라고 볼 수 있다.

 

이번주 회고

어리둥절하고 갈피를 못잡았던 한 주 였다.

며칠간 앓아서 머리가 안돌아간점도 있지만, 처음 보자마자 뇌정지가 오면서 

멘붕이 왔었다. 

한번 당황하니 내용이 머릿속에 들어오질않고 둥둥 떠다니는 느낌?이랄까

왜 이렇게 하는건지, 이게 무슨 흐름인건가, 이건 무슨뜻인가, 이건 무언가..

무수히 많은 질문이 있었지만 갈피를 잡지 못하다 보니 어디서부터 어떤 질문을 해야될지도 모르겠었다.

돌이켜보면 4주차때가 고비였던것같다.

항해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사정들이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몰아닥치다 보니 잠깐 멘탈이 무너졌던것같다.

거기다 4주간 조금씩 깎였던 자신감이 바닥을 쳤었다.

애초에 잘할거란 자신감보단 즐겁게 열심히 해야지란 자신감은 있었는데, 그 마저도 풍화되어 사라지는 기분이였다.

팀원들의 도움을 받으며 다시 공부해보면서 전체 흐름을 파악해보려 애썼다. 

다행히 과제를 제출하고 퀴즈도 풀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절망, 좌절감이 크게 느껴졌던 한 주였지만 이겨내는 것도 배운 한 주 였다.